공무원 행정학- '내적타당성 저해요인'에 대한 내용 살펴봅시다
공무원 행정학- '내적타당성 저해요인'에 대한 내용 살펴봅시다
오늘은 공무원 행정학 시험에 대비하여 '내적 타당성 저해요인' 을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오늘 함께 공부할 내적 타당성 저해 요인은 크게 7가지입니다! 7가지 모두 차근차근 공부해 볼 테니 잘 학습하셔서 마지막에 함께 풀어볼 기출문제의 정답도 맞혀보도록 합시다!
먼저, 내적 타당성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하겠죠? 내적 타당성이란 실험 또는 연구조사를 통해 찾아낸 효과가 조작화된 처리에 기인한 것이라고 볼 수 있는지의 정도를 의미합니다. 요약해서 말하자면 실험 처리와 결과 간의 인과적 결론의 적합성 정도를 바로 '내적 타당성'이라고 하는 것이죠.
그럼, 이 내적 타당성 저해하는 요인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?
▶ 선발요소
첫번 째는 바로 선발요소입니다. 실험을 진행할 때 실험 진행 대상인 집단을 구성하게 되는데, 그 집단 구성을 위한 선발의 차이로 인해서 오류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죠. 처음부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제대로 선발되지 못하여 발생하는 오류로 외재적 요소에 해당합니다.
▶ 역사적 요소
역사적 요소는 실험 기간 동안 발생한 비의도적인 사건이 실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합니다.
▶ 성숙 효과(성장 효과)
시간이 지나면서 실험집단의 특성이 자연스럽게 성장하면서 실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합니다.
▶시험효과(측정요소)
실험 전 측정한 그 자체가 실험에 영향을 주는 것을 말합니다.
▶상실요소
연구 기간에 실험집단 일부가 탈락하게 되어서 남아있는 최종 구성원이 최초와 다른 특성을 가지게 되어 내적 타당성이 저해되는 경우를 말합니다.
▶측정수단요소
측정도구 요인에 의해 내적 타당성이 저해되는 경우로, 연구자의 측정 도구 혹은 기준이 변화하면서 발생하게 됩니다.
▶ 회귀 효과
프로그램 집행 전의 1회 측정에서 극단적인 점수를 얻은 실험대상들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보다 덜 극단적인 상태로 표류하게 되는 경향을 말합니다.
지금까지 내적 타당성의 위험요인! 하나씩 공부해 보았어요. 마지막으로 기출문제를 풀어보도록 할게요!
정답은 바로 2번이었습니다! 이론의 정의를 물어보는 문제로 위에서 학습한 내용을 잘 암기한다면 어렵지 않게 정답을 골라낼 수 있었습니다. 오늘 함께 살펴보면 일곱 가지 효과 중 본인이 잘 모르는 것이 있었다면 반드시 암기하고 지나가야 하겠죠? 복습은 필수입니다~
'수능공부 전략 연구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공무원 한국사- 조선후기 사회구조의 변화 요약+기출문제 (0) | 2018.07.17 |
---|---|
7급, 9급 행정학- 조직목표의 모호성 내용정리와 기출문제 (2) | 2018.07.12 |
공무원 사회- 소비자 권리의 보호를 위한 법 공부해 봅시다! (0) | 2018.07.02 |
공무원한국사- 고려시대 무신정권 '최충헌'에 관한 모든 것! (0) | 2018.06.29 |
공무원 행정학- 민간투자사업방식(BTL,BTO,BOO,BLT) 내용정리 (0) | 2018.06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