고삼이의 수능 전략 연구소

공무원 행정학- '내적타당성 저해요인'에 대한 내용 살펴봅시다

 

 

 

 

오늘은 공무원 행정학 시험에 대비하여 '내적 타당성 저해요인' 을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오늘 함께 공부할 내적 타당성 저해 요인은 크게 7가지입니다! 7가지 모두 차근차근 공부해 볼 테니 잘 학습하셔서 마지막에 함께 풀어볼 기출문제의 정답도 맞혀보도록 합시다!

 

 

먼저, 내적 타당성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하겠죠? 내적 타당성이란 실험 또는 연구조사를 통해 찾아낸 효과가 조작화된 처리에 기인한 것이라고 볼 수 있는지의 정도를 의미합니다. 요약해서 말하자면 실험 처리와 결과 간의 인과적 결론의 적합성 정도를 바로 '내적 타당성'이라고 하는 것이죠.

 

 

그럼, 이 내적 타당성 저해하는 요인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?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▶ 선발요소

 

첫번 째는 바로 선발요소입니다. 실험을 진행할 때 실험 진행 대상인 집단을 구성하게 되는데, 그 집단 구성을 위한 선발의 차이로 인해서 오류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죠. 처음부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제대로 선발되지 못하여 발생하는 오류로 외재적 요소에 해당합니다.

 

 

 

 

▶ 역사적 요소

 

역사적 요소는 실험 기간 동안 발생한 비의도적인 사건이 실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합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▶ 성숙 효과(성장 효과)

 

시간이 지나면서 실험집단의 특성이 자연스럽게 성장하면서 실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합니다.

 

 

 

▶시험효과(측정요소)

 

실험 전 측정한 그 자체가 실험에 영향을 주는 것을 말합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▶상실요소

 

연구 기간에 실험집단 일부가 탈락하게 되어서 남아있는 최종 구성원이 최초와 다른 특성을 가지게 되어 내적 타당성이 저해되는 경우를 말합니다.

 

 

 

 

 

▶측정수단요소

 

측정도구 요인에 의해 내적 타당성이 저해되는 경우로, 연구자의 측정 도구 혹은 기준이 변화하면서 발생하게 됩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▶ 회귀 효과

 

프로그램 집행 전의 1회 측정에서 극단적인 점수를 얻은 실험대상들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보다 덜 극단적인 상태로 표류하게 되는 경향을 말합니다.

 

 

지금까지 내적 타당성의 위험요인! 하나씩 공부해 보았어요. 마지막으로 기출문제를 풀어보도록 할게요!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정답은 바로 2번이었습니다! 이론의 정의를 물어보는 문제로 위에서 학습한 내용을 잘 암기한다면 어렵지 않게 정답을 골라낼 수 있었습니다. 오늘 함께 살펴보면 일곱 가지 효과 중 본인이 잘 모르는 것이 있었다면 반드시 암기하고 지나가야 하겠죠? 복습은 필수입니다~