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무원 국어대비- 통사적합성어와 비통사적합성어의 구분
공무원 국어대비- 통사적합성어와 비통사적합성어의 구분
공무원 국어 시험에 자주 나오는 개념 중 하나 바로 '합성어'입니다. 합성어는 크게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로 구분되는데요, 단어의 예시를 주며 이것을 구분하는 문제가 시험에 등장하죠! 오늘은 이 합성어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용정리와 기출문제 풀이를 해보도록 할게요!
합성어란 무엇인지 먼저 알아야겠죠? 합성어는 두 개 이상의 어근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단어를 뜻합니다.
그렇다면,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는 무엇일까요? 통사적 합성어는 우리말의 일반적인 단어 배열 순서에 따라 만들어진 합성어를 의미합니다. 반면 비통사적 합성어는 그 단어 배열에 어긋나도록 합성된 단어를 말하는 것이죠!
이렇게 말하면, 이해하기가 좀 어려운 것 같아요. 하나씩 예시와 함께 정리해봅시다!
★ 통사적 합성어
1) 명사+명사, 관형사+ 명사 : 돌다리
2) 용언의 어간 + 관형사형 어미 : 큰집
3) 용언의 어간+ 어미+용언의 어간 : 돌아가다
★ 비통사적 합성어
1) 용언의 어간+명사 : 덮밥
2) 용언의 어간+용언의 어간 : 여닫다
3) 부사+명사 : 부슬비
암기를 할 때 비통사적 합성어의 개념만 혹은 통사적 합성어의 개념만 정확히 알고 있어도 이 둘을 구분할 수 있는 데요, 무엇보다 다양한 예시를 접하면서 공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! 그럼 관련된 기출문제를 풀어보면서 정리해보아요!
비통사적 합성어를 찾는 문제였습니다. 정답은 바로 2번이었습니다. '접칼'은 관형사형 어미가 생략되어 있으므로 비통사적 합성어, '굶주리다, 검붉다'는 연결 어미가 생략되어 있으므로 비통사적 합성어, '부슬비'는 부사+명사의 형태를 가진 비통사적 합성어에 해당합니다.
이 문제에 나왔던 보기들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로 한번 구분해보도록 할게요! 예시를 잘 분석해야 개념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겠죠? 함께 봅시다!
예시를 분석해보니, 내용정리가 더 명확해지는 것 같아요! 합성어 부분은 다양한 보기를 접하면서 이렇게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오늘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더 많은 기출 문제를 풀면서 혼자 정리해보시면 많은 도움이 될 거로 생각해요!
'수능공부 전략 연구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행정학 꿀팁 - 부패의 유형 내용정리와 2018 국가직 기출문제 풀이 (0) | 2018.05.25 |
---|---|
9급 공무원 사회- 일탈행동에 관련된 이론 (0) | 2018.05.24 |
7급, 9급 한국사- 고려시대 역사서 '삼국사기,삼국유사,제왕운기'구분하기! (0) | 2018.05.11 |
7급, 9급 공무원 국어- 악장, 향가, 가사의 특징과 차이점 분석하기! (0) | 2018.05.09 |
7급, 9급 한국사 - '독도'에 관한 내용정리와 기출풀이 (0) | 2018.05.02 |